RSV FAQ
RSV가 무엇인가요?
일반적으로 감기와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는 급성 호흡기감염 바이러스로,
원인 병원체는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입니다.1
RSV에 감염되면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요?
RRSV에 감염된 경우, 일반적으로 감염 후 4-6일 이내 증상이 나타나며,
성인의 경우 기침, 콧물, 코막힘 등 가벼운 감기 증상이 나타나고 대부분 1-2주 안에 회복되지만,
노인, 특정 건강 상태에 있거나 허약한 사람, 요양원에 거주하는 사람에서는 더욱 위험할 수 있습니다.1-3
RSV의 전염성이 얼마나 강한가요?
RSV는 감염된 사람의 기침, 재채기 등 호흡기 비말을 통해 전파되고,
감염된 사람의 분비물 또는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건을 접촉한 후 눈, 코, 입 주위 등을 만졌을 때 감염될 수 있으며,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만큼 강한 전염성을 보입니다.4
RSV가 유행하는 시기는 언제인가요?
우리나라에서 RSV는 주로 10-3월에 유행하지만, 일년 중 언제라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5,6
RSV는 성인에서도 위험할 수 있나요?
RSV는 특정 성인에게 위험할 수 있습니다.
위험이 높은 성인으로는 60세 이상 중 특정 건강 상태에 있는 사람, 노령자 또는 허약한 사람, 요양원에 거주하는
사람이 포함됩니다.3
성인 중에서도 RSV 감염 시 중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경우는 언제인가요?
성인이 RSV에 걸리면 일반적으로 가벼운 감기 증상이 나타나지만,
일부는 폐렴(폐 감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때로는 입원을 하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3
심각한 RSV는 일부 성인에게 치명적일 수 있는데,
천식,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및 심부전을 악화시킬 수도 있습니다.3
RSV 감염 시 치료법은 무엇인가요?
RSV로 인한 급성호흡기감염증에는 대부분 1-2주 안에 증상이 사라지지만 특별한 치료법이 없으며, 일반적으로 해열제, 수액 치료 등의
대증요법으로
치료합니다.1,7
RSV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철저한 개인위생수칙 준수가 중요합니다.8
RSV 예방접종을 해야 할까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는
75세 이상이거나 60-74세 중 중증 RSV 질환에 걸릴 위험이 높은 경우에 RSV 백신 접종을 권장하고
있습니다.3
아렉스비 FAQ
아렉스비는 어떤 백신인가요?
아렉스비는 ‘60세 이상 성인에서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Respiratory Syncytial Virus)에 의한 하기도 질환(LRTD)의 예방’에 적응증을 가진 ‘FDA 첫 번째 승인 RSV 백신’입니다.9,10
아렉스비가 적합한 환자는 누구일까요?
아렉스비는 ‘60세 이상 성인’에서 허가되었습니다.9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에서는 75세 이상이거나 60-74세 중 중증 RSV에 감염될 위험이 높은 경우
RSV 백신을 권장하고 있습니다.3
아렉스비는 어떻게 투여되나요?
아렉스비는 근육주사(삼각근 권장)로 투여하는 단일 투여(1회) 주사입니다.9
아렉스비는 RSV 예방에 얼마나 효과적인가요?
아렉스비는 60세 이상 성인에서 82.6%의 RSV-하기도 질환 예방
효과를,
COPD, 천식 및 만성 호흡기/폐 질환 및 만성 심부전 등의 동반질환*을 1가지 이상 나타내는 60세 이상 성인에서는 94.6%의 예방
효과를
보였습니다.9,11
-
*
동반질환은 COPD, 천식, 만성호흡기/폐 질환, 만성 심부전, 제1형 및 제2형 당뇨병, 진행성 간 또는 신장 질환
아렉스비의 흔한 부작용에는 무엇이 있나요?
매우 흔하게(≥1/10) 보고된 약물이상반응은 주사 부위 통증(60.9%), 피로(33.6%), 근육통(28.9%), 두통(27.2%) 및 관절통(18.1%)이 있었습니다.9
References
-
질병관리청. 카드뉴스(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 알아보기) Available at https://www.kdca.go.kr/gallery.es?mid=a20503010000&bid=0002&list_no=146108&act=view Accessed Feb 2025.
-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알림정보<건강소식<이달의 건강정보 “우리 아이 감기 증상, 혹시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Available at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ntcnInfo/healthSourc/thtimtCntnts/thtimtCntntsView.do?thtimt_cntnts_sn=45 Accessed Feb 2025.
-
CDC. RSV in Older Adults Available at https://www.cdc.gov/rsv/older-adults/index.html Accessed Feb 2025.
-
Leung NHL. Nat Rev Microbiol 2021;19(8):528-545.
-
정부24. Q&A로 알아보는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Available at https://www.gov.kr/portal/ntnadmNews/4104882?Mcode=4100&hideurl=N&pageIndex=253&hideurl=N (accessed Jan 2025)
-
KDCA. 2024년도 감염병 표본감시 주간소식지: 52주차. Available at: https://dportal.kdca.go.kr/pot/bbs/BD_selectBbs.do?q_bbsSn=1010&q_bbsDocNo=20250103085856860&q_clsfNo=2 (accessed Jan 2025)
-
Gatt D, et al. Pathogens. 2023 Jan 17;12(2):154.
-
질병관리청. 보도자료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 6세 미만 영유아 중심 입원환자 증가세’ (보도시점 2024. 12. 4)
-
아렉스비주 국내 제품설명서
-
FDA. News & Events >FDA Newsroom >Press Announcements >FDA Approves First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Vaccine Available at https://www.fda.gov/news-events/press-announcements/fda-approves-first-respiratory-syncytial-virus-rsv-vaccine Accessed Feb 2025.
-
Papi A, et al. NEJM 2023;388(7):595-608.
Safety Information9
-
사용상의 주의사항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이 백신의 구성 성분에 과민반응이 있는 자 2. 다음 환자에게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급성 중증 열성 질환을 앓고 있는 자(급성 중증 열성질환이 있는 경우, 이 백신의 접종을 연기해야 한다) 2) 혈소판 감소증이나 다른 혈액응고장애가 있는 자(근육주사 시 출혈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 투여해야 한다.) 3. 이상사례 1) 유효성 임상시험(RSA-OA=ADJ-006) 안전성 프로파일은 60세 이상의 성인에 대해서 실시한 제3상 위약 대조 임상시험에서 이 백신을 1회 투여 받은 12,467명과 위약을 투여 받은 12,499명을 기반으로 한다. 이 임상시험에서 매우 흔하게(≥1/10) 보고된 약물이상반응은 주사 부위 통증(60.9%), 피로(33.6%), 근육통(28.9%), 두통(27.2%) 및 관절통(18.1%)이었다. 중대한 이상사례(SAEs, Serious Adverse Events) 임상시험에서 백신 접종 후 6개월 이내에 발생한 중대한 이상사례는 이 백신(4.2%) 또는 위약(4.0%)을 투여 받은 시험대상자들에게서 유사한 비율로 보고되었다. 백신 접종 후 6개월 이내에 이 백신을 투여 받은 시험대상자 13명과 위약을 투여 받은 시험대상자 15명에서 심방세동이 보고되었다. 4. 일반적 주의 1) 다른 백신과 마찬가지로, 백신 접종 후 아나필락시스 반응이 일어날 경우에 대비하여 적절한 의학적 치료 및 감독이 항상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2) 다른 백신과 마찬가지로, 이 백신이 모든 접종자에게 보호 면역 반응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3) 주사침 투여로 인한 심리적 반응으로서 백신 접종 후 나 접종 전에 실신이 나타날 수 있다. 실신으로 인한 상해를 방지하기 위한 절차가 준비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4) 이 백신을 혈관내 또는 피내로 투여하지 않는다. 이 백신의 피하투여와 관련된 자료는 없다. 5) 면역저하자에 대한 이 백신의 안정성 및 면역원성 자료는 없다. 면역 억제 요법을 받고 있는 환자나 면역 결핍 환자는 이 백신에 대해 감소된 면역 반응을 나타낼 수도 있다. 5. 상호작용 이 백신은 비-면역증강 불활화 계절성 인플루엔자 백신과 병용 투여할 수 있다. 다른 백신과 병용 투여 시 서로 다른 주사 부위에 투여해야 한다. 6.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부 임부에서 이 백신을 사용한 자료는 없다. 임신 중 이 백신의 사용은 권장되지 않는다. 2) 수유 이 백신이 사람 또는 동물의 모유로 분비되는지 여부에 대한 자료는 없다. 수유 중 이 백신의 사용은 권장되지 않는다. 3) 수태능 사람의 수태능에 대한 이 백신의 영향과 관련된 자료는 없다. 동물시험에서 암컷의 수태능 면에서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유해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7. 소아에 대한 투여 소아에서의 안전성 및 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으며 관련 자료가 없다.